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atabase/oracle

(18)
09. Where 조건과 비교 연산자 Where 조건과 비교 연산자 - 형식: select 컬럼명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들 비교연산자 =, >, =,
09. SELECT 데이터조회(검색)을 하기 위한 SELECT - 형식 : select [distinct] [column] from 테이블명 **distinct : 중복을 제거한다 ex) select * from dept; //dept 테이블의 모든 내용출력 - 특정 열만 검색하기 select [column명] from 테이블명 - 컬럼이름에 별칭 지정하기 컬럼을 기술한 바로 뒤에 as라는 키워드를 쓴 후 별칭을 기술한다 ex) select deptno as deparmentno, dename as departmentname from dept; **별칭은 한글도 가능하다(한글일때는 as를 안붙임) - 중복된 데이터를 한번씩만 출력하게 하는 DISTINCT ex) EMP테이블에서 컬럼 JOB을 표시하되 중복된 값은 한번만 표..
08. 테이블스페이스 생성/변경/삭제 테이블스페이스 - 데이터베이스에서 생성하는 테이블, 인덱스, 뷰같은 객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 - 하나의 테이블스페이스는 최소한 하나의 물리적 데이터파일로 구성된다 1. 테이블스페이스 생성 - create tablespace 테이블스페이스명 datafile 데이터파일경로 ex) create tablespace firstbank datafile 'c:\data\first01.dbf size 10M; 2. 데이터파일 추가 방법 - alter tablespace 테이블스페이스명 add datafile '경로' size (사이즈) ex) alter tablespace firstbank add datafile 'c:\data\first02.dbf' size 1M 3. 데이터파일의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 - alt..
07. 오라클 데이터 타입 오라클 데이터 타입 char(size) - size 크기의 고정길이 문자 데이터 타입 - 최대크기 : 2000byte - 최소크기 : 1byte varchar2(size) - size 크기의 가변길이 문자 데이터 타입 - 최대크기 : 4000byte - 최소크기 : 1byte nvarchar2(size) - 국가별 문자 집합에 따른 size - 크기의 문자 또는 바이트의 가변길이 문자데이터 타입 - 최대크기 : 4000byte - 최소크기 : 1byte ** n=national number(size) - 숫자 데이터 타입 number(p, s) - 정밀도(p), 스케일(s)로 표현되는 숫자타입 - p: 1~38, s: -84~127 (s는 몇승인지, scale) - 전체 p자리중 소수점 이하 s자리 **..
06. SQL의 종류(DDL) DDL(Data Definition Language) - DDL은 데이터 객체를 생성 또는 변경, 제거 할 때 사용한다. **객체 : 테이블, 인덱스, 뷰, 트리거 등 SQL문을 수행하는 대상을 의미함 - create :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한다. create table pk(pk는 테이블명) { no number(3) primary key, name varchar2(10), age number(2), addr varchar2(50), tel varchar2(15) ); - alter : 기존 테이블을 변경함 alter table 테이블명 modify(조건) ex) alter table pk modify(addr varchar2(30)) - rename : 테이블명을 변경 rename 테이블명 to 앞으..
05. SQL의 종류(TCL) TCL (Transaction Control Language) - TCL은 트랜잭션 관련문장으로 데이터 조작어에 의해 변경된 내용을 관리한다. 데이터추가, 삭제, 변경한 내용은 파일에 즉각 저장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실수로 잘못 입력한 명령어라면 언제든지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완벽하게 입력된 명령어라는 것이 확인 될 때에만 영구적으로 저장하도록 TCL을 사용한다. - commit : 변경된 내용을 영구적으로 저장 - rollback : 변경된 내용을 이전 상태로 되돌림 (commit을 쓰고 난 후에 rollback 사용 불가) * commit 수행후 rollback을 한 경우
04. SQL의 종류(DML) SQL의 종류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조작하는 역할 (select, insert, update, delete)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요소를 정의, 변경, 삭제하는 언어 (create, alter, drop, rename, truncate) DCL (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베이스의 접근 권한을 부여, 제거하는 언어 (grant, revoke) TCL (Transaction Control Language) DML문에 의한 변경사항을 관리 (commit, rollback, savepoint) 1.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select : 테..
03. 사용자 관리 시스템권한/객체권한 - 시스템권한: 사용자의 생성과 제거, DB접근 및 각종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권한 등 주로 DBA에 의해 부여됨 - 객체권한: 테이블, 시퀀스, 인덱스와 같은 객체를 조작할 수 있는 권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권한 (시스템 관리자가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권한) 시스템 권한 기능 CREATE TABLE 사용자 스키마에서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는 권한 CREATE VIEW 사용자가 스키마에서 뷰를 생성할 수 있는 권한 CREATE SEQUENCE 사용자가 스키마에서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는 권한 CREATE PROCEDURE 사용자 스키마에서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는 권한 CREATE SESSION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 user01을 생성한 후 conn user01/ti..